긴 겨울방학이 끝나고 개학 전 마지막 주말입니다.
신학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맞이하기 위해 이번 주말은 특별한 계획 없이 집안에서 보내기로 하였습니다.
네 맞아요.
아이들에게 평상시보다 더 많은 게임 시간을 허락하였습니다.
갓 내린 커피가 미처 식기도 전에
닫혔던 아둘님의 방문이 슬그머니 열립니다.
- WiFi 때문에 또 졌어!!
거의 다 이긴 게임이었는데, 접속 지연이 발생하면서 게임에 지고 말았답니다.
정말 WiFi 때문일까?
아둘님들의 핸드폰 설정을 확인해 봅니다.
아둘님들의 핸드폰은 집 안에서는 WiFi 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과연, 확인해보니 WiFi 네트워크가 5G로 잡혀있네요.
네트워크가 끊겨서 게임에 지고 말았다는 아둘님들의 말이 거짓은 아닌 것 같습니다.
WiFi 5GHz Vs 2.4 GHz
WiFi는 크게 2.4GHz와 5GHz의 두 가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주파수가 무엇인지 헷갈린다면 아래 포스팅도 참고해 보세요!
아들을 위한 블루투스 이야기
아둘님들 핸드폰을 바꾸었습니다.게임 잘 돌아가는 폰이 생겼다며 광대가 눈썹까지 승천한 아둘님들.게임 세팅한다고 분주한 모습을 보고 있자니 괜스레 흐뭇해집니다. 오늘만큼은 보너스 타
shcomp.kr
주파수는 1초 동안 발생하는 진동의 횟수로, WiFi의 속도와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파란색으로 표현한 그래프는 2.4GHz 주파수입니다. 빨간색으로 표현한 5 GHz 주파수 보다 주기가 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장의 주기가 길면 신호는 멀리 전파됩니다.
반면 빨간색은 주기가 짧은데 진동이 빠르다고 표현합니다. 진동이 빠르면 데이터 전송속도는 빠르지만, 장애물을 통과하는 능력은 낮아집니다.
조금 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주파수 별 특징과 속도, 범위를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2.4GHz | 5GHz | |
특징 | 긴 파장으로 장애물을 쉽게 통과함. | 짧은 파장으로 속도가 빠름. |
속도 | 최대 450~600Mbps | 최대 1Gbps |
거리 | 30 ~ 100 m | 10 ~ 30 m |
장점 | 넓은 커버 범위로 장애물이 있는 곳에서도 사용 가능 | 속도가 매우 빠르며 혼선 가능성이 적음 |
단점 | 사용자가 많을 경우 혼선이 발생할 수 있음. | 장애물이 있을 경우 신호가 끊길 수 있음. |
겨우 벽 하나 때문에.
5GHz WiFi를 사용하고 있던 아둘님의 네트워크가 느려지거나 끊기는 현상이 발생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무조건 5GHz 라고 해서 그런 것은 아닙니다.
아둘맘네가 사용하는 인터넷 요금제는 100메가 상품으로, 1기가 상품에 비교하면 이론적으로 10배가 느립니다. 또한 방의 위치가 WiFi 공유기를 기준으로 약 4m가량 떨어져 있는 것도 영향을 주었을 것입니다.
Wi-Fi 기술의 핵심 요소
Wi-Fi (Wireless Fidelity)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 데이터를 무선 전파로 전송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장치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Wi-Fi 를 사용하려면 다음 3가지 필요합니다.
(1) 인터넷 서비스 제공 회사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을 가정이나 기업에 제공하는 회사로, 우리나라에는 KT, SKT, LG U+ 가 있습니다. 통신사에서 설치한 인터넷 망을 통해 각 가정으로 인터넷 신호를 전달합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는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별로 고유의 공인 IP 주소를 할당합니다.
(2) 라우터 (Router, Wi-Fi AP)
통신사에 인터넷 서비스를 신청하였다면, 가정에는 모뎀 혹은 라우터(혹은 AP)라고 불리는 기기가 설치됩니다. 집안의 벽면을 통해 케이블과 연결되는 기기가 바로 모뎀입니다. 라우터는 모뎀과 연결되어 ISP에서 받은 인터넷 신호를 Wi-Fi 형태로 변환합니다. 모뎀과 라우터는 별도의 기기로 설치되기도 하고, 일체형으로 설치되기도 합니다.
(3) 사용자 장치
Wi-Fi 라우터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가정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Wi-Fi신호가 그물망처럼 펼쳐져 있습니다. 핸드폰, 노트북, 스마트 TV 등 Wi-Fi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에서 Wi-Fi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인증을 받으면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 Wi-Fi가 느린 이유
지하철이나 카페에서 제공하는 Wi-Fi의 경우 가정에서 보다 속도가 느린것을 경험한 적이 있을 겁니다. 물론 최근에는 Wi-Fi 6 기술이 나오면서 이러한 속도, 품질 저하 문제가 많이 해결되긴 하였지만요.
공공장소에서 Wi-Fi 속도가 느린 주 원인은 사용자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위해하려면 통신 대역폭(Bandwidth) 에 대해 먼저 이해하여야 합니다.
대역폭(Bandwidth) 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을 의미합니다.
전자공학에서는 Hz단위로 측정하는 주파수의 범위를 뜻하기도 합니다.
속도 = 거리 / 시간 공식 기억나시나요?
일상생활에서의 속도는 같은 시간 동안 얼마만큼의 거리를 갈 수 있는가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데이터 통신에서는 조금 다르게 이해하여야 합니다. 같은 시간 동안 갈 수 있는 거리가 아니라, 얼마만큼의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지가 통신에서의 속도가 됩니다.
대역폭이란,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하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역폭이 크다 =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이 많다 = 통신 속도가 빠르다
Wi-Fi는 여러 장치가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한 번에 여러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고,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것을 어려운 말로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라고 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시간, 즉 대기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속도가 느려집니다.
가정에서 Wi-Fi 최적화를 위한 팁
Wi-Fi 기술에 대해 알아봤으니, 이제 실생활을 개선할 차례입니다. 어떻게 하면 아둘님들 입에서 Wi-Fi 때문에 졌다는 말이 덜 나오게 할 수 있을까요?
(1) 라우터 위치 최적화
먼저 라우터 위치를 최적화 해야합니다.
보통 가정에서는 미관을 위하여 TV 뒤쪽 벽에 다른 이름 모를 기기들과 함께 라우터가 위치할 것입니다. Wi-Fi 신호는 벽뿐만 아니라 TV, 가구 등에 의해서도 약해질 수 있으므로 집 전체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높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Wi-Fi 속도 최적화를 원한다면, 인터넷 선이 노출되더라도 최대한 벽 위쪽에 설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혹시, 가정의 라우터가 사진과 같은 모습이라면, 당장 인터넷 TV 셋톱과 라우터를 떨어뜨려 설치해 주세요.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TV 셋탑 옆에 Wi-Fi 라우터가 위치할 경우 2.4 GHz 주파수의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속도 및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5 GHz 주파수 사용
대부분의 가정용 Wi-Fi는2.4 GHz / 5 GHz 대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끝에 5G가 없는 게 2.4 GHz입니다.)
빠른 속도를 원한다면 5 GHz 대역을 선택하여 사용하세요. 단, 4 bay 타입으로 거실과 방 사이의 거리가 멀다면, 중간에 무선랜 증폭기를 두는 것도 추천합니다.
(3) 인터넷 속도 측정 및 상품 변경
라우터를 최적화했는데도 속도가 느리다면 ISP, 통신사의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각 통신사의 고객센터를 통해 속도 점검을 받을 수 있으니 문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가정에서 재택근무를 하거나 고품질의 인터넷 사용이 필요하다면 초고속 인터넷 상품을 알아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마치며
라우터 위치를 최적화하고, 와이파이 증폭기를 사용하여도 아둘님들의 불만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습니다. 애초에 가정용 인터넷 자체가 초고속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물론, 제한된 자유만을 허락하겠다는 엄마의 의도이기도 합니다. 만약, 100메가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재택근무가 필요하다면 Wi-Fi가 아닌 유선랜을 사용할 것을 적극 추천합니다. 훨씬 쾌적한 업무환경을 경험할 수 있을 거예요.
'아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 발목 깁스 보조 용품 추천 (0) | 2025.03.15 |
---|---|
아들을 위한 블루투스 이야기 (0) | 2025.02.18 |
아들을 위한 스마트 폰 필수 세팅 (0) | 2025.02.15 |
게임 때문에 핸드폰 안 바꿀래요 (0) | 2025.02.08 |
아들은 왜 한 번 말하면 못 알아 들을까?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