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도마뱀은 작고, 화려하며 쉽게 구할 수 있어 파충류 초보자와 경험 많은 파충류 애호가 모두에게 이상적인 반려동물입니다. 어떤 종류의 도마뱀을 선택하든 몇 가지 중요한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항상 사육장에서 길러진 도마뱀을 구입하도록 노력하고, 구매하려는 특정 종의 관리 방법에 대해 미리 읽어보며, 집에 들이기 전에 사육장을 준비해야 합니다. 이러한 준비는 새 도마뱀이 좋은 시작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보 집사를 위한 입문용 도마뱀 종류를 소개합니다.
레오파드 게코
레오파드 게코는 파충류 초보자에게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지역 애완동물 가게나 파충류 전시회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다양한 무늬와 색상의 변종(모프)으로 제공됩니다. 레오파드 게코 한두 마리는 약 76리터 크기의 사육장에서 키울 수 있으며, 특별한 UVB 조명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제공해 준다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레오파드 게코의 먹이로는 귀뚜라미, 밀웜, 왁스웜 등 다양한 곤충 종류가 있으며, 곤충류 급여가 어렵다면 슈퍼푸드를 활용해도 좋습니다.
레오파드 게코는 다루기 쉬우며 자주 물지 않습니다. 물더라도 아프지 않고, 크기가 적당하여 아이들이 다루기에 좋습니다.
레오파드 게코는 상당히 오랜 수명을 가지는데, 사육 환경에서는 10~20년까지 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린 자녀가 키우고 싶어 한다면, 자녀가 대학에 갈 때까지 키울 준비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크레스티드 게코
크레스티드 게코는 '속눈썹 도마뱀'라고도 불리며, 눈 위와 목, 등으로 이어지는 프린지 모양의 돌출부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습니다. 크레스티드 게코는 높이 30~40cm 의 사육장에서도 잘 살 수 있지만, 이 활발하고 나무를 타는 습성이 있는 도마뱀에게는 더 큰 사육장이 좋습니다. 크레스티드 게코는 가지와 식물 위를 타고 오를 공간이 필요하며, 곤충뿐만 아니라 다른 먹이도 섭취하므로 이들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먹이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크레스티드 게코 전용 먹이는 과일 베이스, 곤충 베이스 등 종류가 다양하므로 게코가 특히 선호하는 먹이를 찾아보면서 키우는 재미를 더욱 느낄 수 있습니다.
크레스티드 게코는 다루기 쉽고 일반적으로 온순하지만, 다소 예민하여 레오파드 게코보다 다루기가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천천히 시간을 들여 새로운 환경에 익숙해지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사랑과 애정을 주어 정성껏 기른다면 15~20년의 수명을 가질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로도 매우 적합한 개체입니다.
아프리칸 팻테일 게코
아프리칸 팻테일 게코는 레오파드 게코와 매우 유사하지만, 꼬리가 지방 저장 기능을 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건강한 아프리칸 팻테일 게코는 머리와 비슷한 폭의 크고 살찐 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프리칸 팻테일 게코의 관리 방법은 레오파드 게코와 비슷합니다. 76리터 크기의 사육장이 적합하며, 특별한 UVB 조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먹이로는 칼슘가루를 뿌린 귀뚜라미와 곤충류가 적합 합니다. 또한 온순하지만 스트레스를 더 쉽게 받을 수 있으므로 다루는 데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습니다. 아프리칸 팻테일 게코는 레오파드 게코와 비슷한 수명을 가지며 크기도 비슷하여 함께 키우기 좋은 개체입니다.
초보집사가 키우기 좋은 도마뱀 3종류를 소개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종의 도마뱀들이 있으며 각 도마뱀별 특징과 매력이 다르니 가까운 샵을 방문해 보시는 것을 적극 추천합니다. 우연한 만남을 통해 평생을 함께할 반려 도마뱀을 만나길 기원합니다.
'Geck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집사를 위한 애완 도마뱀 6종 (0) | 2025.01.14 |
---|---|
아이들과 함께하는 게코 돌보기 (0) | 2025.01.14 |
초보 집사를 위한 Leopard Geckos 의 모든 것 (0) | 2025.01.14 |
게코 입양 전 알아둬야 할 필수 체크 리스트 (0) | 2025.01.14 |
게코 사육을 위한 바닥재 선택하기 (0) | 2025.01.13 |
초보 집사를 위한 Crested Geckos의 모든 것 (0) | 2025.01.13 |
크레스티드 게코 입양 전 알아야 할 것들 (0) | 2025.01.12 |
크레스티드 게코란 무엇인가? (0) | 2025.01.12 |